본문 바로가기
SERVER

NHN CLOUD 아키텍처 트레이닝 VPC

by 비너발트 2025. 7. 18.

 

VPC란 무엇인가?

VPC는 물리적 네트워크가 아닌 가상의 논리 네트워크의 단위이며 다른 사용자와 격리된 독립적인 네트워크 공간을 뜻합니다

쉽게 비유하자면 건물(VPC) 안에 여러 방(서브넷)이 존재하고 각 방은 기능이 다르고 출입문(보안그룹)이 있고 복도(라우팅 테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VPC의 핵심 구성 요소

구성요소 설명
CIDR 블록 VPC에 할당된 IP 주소 범위 (예: 10.0.0.0/16) (건물)
서브넷(Subnet) VPC 내에서 IP 대역을 나눈 논리 구역 (Public / Private) (방)
인터넷 게이트웨이 외부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건물 출입문)
NAT 게이트웨이 Private Subnet에서 인터넷으로 나갈 수 있게 해주는 장치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트래픽 경로 설정 (복도)
보안그룹 / ACL 인스턴스 및 서브넷 접근 제어 정책 (출입문)

 

VPC 사용 구성도 예시

VPC: 10.0.0.0/16  
ㄴ Public Subnet (10.0.1.0/24) 웹 서버
ㄴ Private Subnet (10.0.2.0/24) DB 서버
ㄴ NAT Gateway (10.0.3.0/24)  
     
     

 

VPC의 특징

보안 격리: 내 서비스 전용 네트워크

유연한 구성: Subnet, 라우팅, 보안 정책 자유롭게 설정

확장성: CIDR 블록 설계에 따라 서비스 확장 용이

비용 관리: 필요 리소스만 올릴 수 있어 비용 절감 가능

 

보통 VPC는 16 블록으로 생성하고 서브넷을 /24 단위로 생성합니다

외부에서 접근가능한 public Subnet(웹서버 등)에는 Bastion 서버를 배치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Private Subnet 에는 DB, 내부 API 서버 배치하고 서브넷 별로라우팅 테이블과 보안 그룹을 따로 설정합니다